5. 딕셔너리(Dictionary)
1. 키워드
- 딕셔너리(Dictionary)
- 키-값 쌍(Key-Value Pair)
- 해시(Hash)
2. 딕셔너리 사용하기
- 파이썬에서는 연관된 값을 묶어서 저장하는 용도로 딕셔너리라는 자료형을 제공한다.
- 딕셔너리는 값마다 이름을 붙여서 저장하는 방식이다.
3. 딕셔너리 만들기
- 딕셔너리는
{}
(중괄호) 안에키: 값
형식으로 저장하며 각 키와 값은,
(콤마)로 구분해 준다.
- 다음과 같이 키와 값이 4개씩 들어있는 딕셔너리를 만들어보자.
>>> lux = {"health": 490, "mana": 334, "melee": 550, "armor": 18.72}
>>> lux
{'health': 490, 'mana': 334, 'melee': 550, 'armor': 18.72}
- 딕셔너리는 키를 먼저 지정하고
:
(콜론)을 붙여서 값을 표현한다. - 특히 키에는 값을 하나만 지정할 수 있으며 이런 특성을 따서 키-값 쌍(Key-Value Pair)이라고 부른다.
1) 키 이름이 중복되면?
- 다음과 같이 딕셔너리를 만들 때 키 이름이 중복되도록 만들어보자.
>>> lux = {"health": 490, "health": 800, "mana": 334, "melee": 550, "armor": 18.72}
>>> lux["health"]
800
>>> lux
{'health': 800, 'mana': 334, 'melee': 550, 'armor': 18.72}
- 딕셔너리
lux
를 만들 때"health": 490
이 있고 그 뒤에"health": 800
을 넣었다. - 즉, 키
"health"
가 중복된다. - 이 상태에서
lux["health"]
를 출력해 보면800
이 나온다. - 즉, 딕셔너리에 키와 값을 저장할 때 키가 중복되면 가장 뒤에 있는 값만 사용하며, 따라서 키는 저장되지 않는다.
2) 딕셔너리 키의 자료형
- 딕셔너리의 키는 문자열뿐만 아니라 정수, 실수, 불도 사용할 수 있으며 자료형을 섞어서 사용해도 된다.
- 그리고 값에는 리스트, 딕셔너리 등을 포함하여 모든 자료형을 사용할 수 있다.
>>> x = {100: "hundred", False: 0, 3.5: [3.5, 3.5]}
>>> x
{100: 'hundred', False: 0, 3.5: [3.5, 3.5]}
- 단, 키에는 리스트와 딕셔너리를 사용할 수 없다.
>>> x = {[10, 20]: 100} # TypeError: unhashable type: 'list'
>>> x = {{"a": 10}: 100} # TypeError: unhashable type: 'dict'
3) 빈 딕셔너리 만들기
- 빈 딕셔너리를 만들 때는
{}
만 지정하거나dict
를 사용하면 된다. - 보통
{}
를 주로 사용한다.
4) dict
로 딕셔너리 만들기
dict
는 다음과 같이 키와 값을 연결하거나, 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로 딕셔너리를 만들 때 사용한다.
딕셔너리 = dict(키1=값1, 키2=값2)
딕셔너리 = dict(zip([키1, 키2], [값1, 값2]))
딕셔너리 = dict([(키1, 값1), (키2, 값2)])
딕셔너리 = dict({키1: 값1, 키2: 값2})
- 먼저 다음과 같이
dict
에서키=값
형식으로 딕셔너리를 만들 수 있는데, 이때는 키에''
나""
를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.
>>> lux1 = dict(health=490, mana=334, melee=550, armor=18.72)
>>> lux1
{'health': 490, 'mana': 334, 'melee': 550, 'armor': 18.72}
- 두 번째 방법은
dict
에서zip
함수를 이용하는 방법인데, 다음과 같이 키가 들어있는 리스트(튜플)와 값이 들어있는 리스트(튜플)를 차례대로zip
에 넣은 뒤 다시dict
에 넣어주면 된다.
>>> lux2 = dict(zip(["health", "mana", "melee", "armor"], [490, 334, 550, 18.72]))
>>> lux2
{'health': 490, 'mana': 334, 'melee': 550, 'armor': 18.72}
- 세 번째 방법은 리스트 안에
(키, 값)
형식의 튜플을 나열하는 방법이다.
>>> lux3 = dict([("health", 490), ("mana", 334), ("melee", 550), ("armor", 18.72)])
>>> lux3
{'health': 490, 'mana': 334, 'melee': 550, 'armor': 18.72}
- 네 번째 방법은
dict
안에서 중괄호로 딕셔너리를 생성하는 방법이다.
>>> lux4 = dict({"health": 490, "mana": 334, "melee": 550, "armor": 18.72})
>>> lux4
{'health': 490, 'mana': 334, 'melee': 550, 'armor': 18.72}
4. 딕셔너리의 키에 접근하고 값 할당하기
- 딕셔너리의 키에 접근할 때는 딕셔너리 뒤에
[]
(대괄호)를 사용하며[]
안에 키를 지정해 주면 된다.
>>> lux = {"health": 490, "mana": 334, "melee": 550, "armor": 18.72}
>>> lux["health"]
490
>>> lux["armor"]
18.72
딕셔너리에 키를 지정하지 않으면?
- 딕셔너리에 키를 지정하지 않은 상태는 해당 딕셔너리 전체를 뜻한다.
- 따라서 다음과 같이 딕셔너리
lux
를 출력하면{}
를 포함하여 딕셔너리 전체가 출력된다.
1) 딕셔너리의 키에 값 할당하기
- 딕셔너리는
[]
로 키에 접근한 뒤 값을 할당한다.
>>> lux = {"health": 490, "mana": 334, "melee": 550, "armor": 18.72}
>>> lux["health"] = 2037
>>> lux["mana"] = 1184
>>> lux
{'health': 2037, 'mana': 1184, 'melee': 550, 'armor': 18.72}
- 딕셔너리에서 키의 값을 출력할 때와 마찬가지로
[]
에 키를 지정한 뒤 값을 할당하면 된다.
- 특히, 다음과 같이 딕셔너리는 없는 키에 값을 할당하면 해당 키가 추가되고 값이 할당된다.
>>> lux["mana_regen"] = 3.28
>>> lux
{'health': 490, 'mana': 334, 'melee': 550, 'armor': 18.72, 'mana_regen': 3.28}
- 만약 키에서 없는 값을 가져오려고 하면 에러가 발생한다.
>>> lux = {"health": 490, "mana": 334, "melee": 550, "armor": 18.72}
>>> lux["attack_speed"] # KeyError: 'attack_speed'
2) 딕셔너리에 키가 있는지 확인하기
- 딕셔너리에서 키가 있는지 확인하고 싶다면
in
연산자를 사용하면 된다.
>>> lux = {"health": 490, "mana": 334, "melee": 550, "armor": 18.72}
>>> "health" in lux
True
>>> "attack_speed" in lux
False
- 반대로
in
앞에not
을 붙이면 특정 키가 없는지 확인한다.
해시(Hash)
- 딕셔너리는 해시 기법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저장한다.
- 보통 딕셔너리와 같은 키-값 형태의 자료형을 해시, 해시 맵, 해시테이블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.
3) 딕셔너리의 키 개수 구하기
- 딕셔너리를 사용하다 보면 딕셔너리의 키 개수(길이)를 구할 필요가 있다.
- 다음과 같이 키의 개수는
len
함수를 사용하여 구하는데, 키와 값은 1:1 관계이므로 키의 개수는 곧 값의 개수가 된다.
>>> lux = {"health": 490, "mana": 334, "melee": 550, "armor": 18.72}
>>> len(lux)
4
>>> len({"health": 490, "mana": 334, "melee": 550, "armor": 18.72})
4